try ~ except
try에 실행할 코드를 입력하고, except에 예외를 처리한다.
ord( )
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돌려주는 함수이다.
chr( )
ord( )함수와 반대로, 아스키 코드 값을 입력 받아 그에 해당하는 문자를 돌려주는 함수이다.
1. A+B-4
10951번: A+B - 4
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www.acmicpc.net

#A+B-4
while True:
try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except:
break
split()함수와 함께 공백을 구분하여 입력 값을 받고, map( )을 이용하여 정수로 변환해준다.
그 외는 except로 break해준다.
2. A+B-5
10952번: A+B - 5
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www.acmicpc.net

while True: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if a ==0 and b ==0:
break
print(a+b)
3. 아스키 코드
www.acmicpc.net/problem/11654
11654번: 아스키 코드
알파벳 소문자, 대문자, 숫자 0-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,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www.acmicpc.net

m = input()
print(ord(m))
ord( )를 이용하여 아스키 코드 값을 출력한다.
4. 숫자의 합
www.acmicpc.net/problem/11720
11720번: 숫자의 합
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없이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
n = int(input())
a = list(input())
result = 0
for i in a:
result += int(i)
print(result)
반응형